최근 국내 은행들이 잇따라 3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은행들의 실적 잔치를 둘러싼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서민이나 중소기업의 호주머니를 털어 은행들만 손쉽게 돈을 벌고 있다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는데요, <br /> <br />이 논란의 핵심은 바로 '예대마진', 그러니까 대출금리와 예금금리의 차이로 생기는 이익입니다. <br /> <br />이승윤 기자가 어떤 문제가 있는지 짚어봤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 <br />[김정훈 / 자유한국당 의원 : 물론 은행들도 수익을 내야겠지만 지금 다들 형편이 어려운데 지금 너무 과한 것 아닙니까?] <br /> <br />[최종구 / 금융위원장 : 예대마진이 적정하냐라고 볼 때 적정하지 않다라고 할 근거는 또 없다고 보여집니다.] <br /> <br />국정감사에서도 논란이 될 정도로 국내 은행들은 그야말로 엄청난 예대 마진을 거두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'예대 마진'은 대출을 해주고 받은 이자에서 예금자에겐 준 이자를 뺀 것으로, 은행의 가장 큰 수입원입니다. <br /> <br />당연히 대출금리와 예금금리의 차이가 커지거나 아니면 대출액수가 늘어나면 그만큼 많아지게 됩니다. <br /> <br />지금 보시는 표는 금융감독원이 집계한 국내 18개 은행의 '예대 마진' 규모입니다. <br /> <br />3년 6개월 동안 무려 109조 원이나 벌어들였습니다. <br /> <br />그리고 보시는 것처럼, 해마다 가파르게 늘어나면서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서민들의 살림살이는 팍팍한데 이렇게 은행들이 실적 잔치를 벌이는 것에 시선이 고울 수는 없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여기저기서 은행들을 비난하는 목소리가 쏟아져 나오고 있고, 청와대 국민청원까지 등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러다 보니 은행들이 일부러 대출금리는 많이 올리고 예금금리를 찔끔 올리는 것 아니냐는 의심도 적지 않은데요, <br /> <br />은행들은 이 부분은 좀 억울하다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한국은행 자료를 보면, 대출금리와 예금금리의 차이는 최근 1년 동안 커지긴 했지만, 소폭에 그쳤습니다. <br /> <br />또 기간을 더 넓혀서, 지난 10년간을 따져봐도 금리 차는 대체로 일정하게 유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사실, 시장 금리가 변동했을 때, 이를 반영하는 속도에서 예금금리와 대출금리는 구조적으로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[서정호 박사 / 한국금융연구원 : 은행 대출의 경우, 예금 금리와는 달리 변동 금리부 상품이 더 많기 때문에 금리 상승기에는 예대 마진이 좀 늘어나고, 금리 하락기에는 예대 마진이 축소되는 경향이 있습니다.] <br />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81101231738570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